아이엠피터TV 오리지널 콘텐츠
'어쩌다저널리즘' 세 번째 파일럿.

'일구이언'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한 입으로 말을 이랬다 저랬다 하는 일관성 없는 것을 뜻합니다.

이명박 박근혜 정권 때는 지지율이 50%만 넘어도 언론은 앞다퉈 대통령 지지율 고공행진, 역대 최고라는 표현을 사용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의 지지율이 60%가 되자 언론은 추락, 최저라며 맹비난을 퍼부었습니다.

대통령마다 숫자를 다르게 적용하는 언론을 보면 '일구이언 이부지자'라는 말이 떠오릅니다.
거들떠보자 0:51
‘국민연금 국가 지급 명문화’ 보도
중앙일보만 불편해하는 이유는?

경향신문 : “국민연금, 국가가 지급보장” 문 대통령 ‘명문화’ 첫 언급.
한겨레 : 문 대통령 “국민연금 국가 지급 보장 분명히 하라” 지시.
동아일보 : 문재인 대통령 “국민연금, 국가의 지급 보장 명문화”
중앙일보 : 국가가 국민연금 지급보장 추진 … 연금 개혁 걸림돌 되나 (3면)
조선일보 : "국민연금 개정엔 국민동의 필요” (6면)

8월 28일 주요 일간지 헤드라인 중 하나는 ‘국민연금’이었습니다. 문재인 대통령이 수석.보좌관 회의에서 “국민연금, 국가의 지급 보장을 명문화하라”고 지시한 것을 다뤘습니다. 물론 모든 신문이 같지는 않았습니다.

평소 하나의 사안이 조중동과 한경으로 나뉘는 것과 달리 이번 ‘국민연금 국가 지급 명문화’ 기사는 달랐습니다.



경향신문과 한겨레, 동아일보가 1면에 내용을 담았고 조선일보는 ‘국가 지급 명문화’와 달리 ‘국민연금 개정’을 주제로 6면에, 중앙일보는 ‘연금 개혁의 걸림돌’이라는 내용을 추가로 담아 3면에 배치했습니다.

먼저 경향신문은 ‘국민연금의 국가 지급 보장 명문화’를 대통령이 직접 언급한 것은 처음이라는 점을 강조했습니다.

한겨레와 동아일보는 간단히 “기금 고갈 불안 해소를 위해 국가 지급 명문화를 지시했다” 정도로 언급했습니다. 세 신문 모두 ‘국가 지급 명문화’에 중점을 둔 보도입니다.

반면 조선일보는 6면에서 국민연금 보험료 상한 연령이나 지금 시기 등 ‘국민연금 개정’과 관련해서 ‘국민 동의가 필요하다’라고 이야기한 내용을 주로 다뤘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사회적 합의다. 국민의 동의와 사회적 합의를 전제로 추진한다는 긴 관점을 가지고 여론을 폭넓게 수렴해주길 바란다”는 대통령의 발언을 인용했으나, ‘문 대통령은 보험료율 인상 여부 등 구체적 개편 내용에 대해서도 언급하지 않았다’고 자세한 내용에 대한 언급이 없었다는 점을 짚었습니다.

중앙일보는 한 걸음 더 들어갔습니다. 다른 신문과 마찬가지로 문 대통령의 ‘국가 지급 명문화’, ‘연금 개정 국민 동의 필요성’은 그대로 다뤘지만, ‘다만 국가 지급 보장 조항이 들어가면 연금 개혁이 어려워질 수도 있다. 재정이 고갈돼도 국가가 지급을 보장하니 굳이 보험료를 올릴 필요가 없다는 인식을 심어줄 수도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국민연금제도발전위원회 보고서에 나온 “현세대의 불안감 해소에는 도움이 되나 세금으로 국가재정이 충당되는 점을 고려할 때 미래 세대에 부담을 전가할 수 있다”는 대목을 인용하기도 했습니다.

“지금 조항이 충분히 국가 지급보장의 의미를 담고 있기 때문에 지금은 생색내기 위한 지급 보장 명문화가 아니라 실제 재정 안정화 조치를 심각하게 고민해 보험료를 조정하는 것이 우선”이라는 김수완 강남대 교수의 말도 인용했습니다.

계속해서 ‘국가 지급 보장 명문화’보다 ‘연금 보험료 인상’이 우선이라는 의미를 강조했습니다.

게다가 “기간이 많이 걸리더라도 정부와 국회가 충분한 논의 과정을 거쳐 국민의 동의와 사회적 합의를 전제로 추진한다는 긴 관점을 가져 달라”는 문 대통령의 발언에 ‘서두르지 않는 것은 좋지만 개혁을 늦출수록 후세대 부담은 늘어난다’는 말을 덧붙였습니다.

중앙일보는 이번에도 김수완 교수의 발언을 인용하며 “사회적 합의, 국민 동의는 정치적으로는 옳은 수사지만 긴 관점으로 접근하겠다는 말은 이번 정부에서 다루기 어려우니 미루겠다는 것으로 비칠 수도 있다”며 ‘연금 개정에는 사회적 합의와 국민의 동의가 필요하다’는 문 대통령의 발언을 정면으로 반박했습니다.

중앙일보는 국민연금제도가 결국 무너질 수도 있다는 생각을 하는 것 같습니다. 보험료 인상이 결국 무산되거나 늦춰진다면 공적연금의 지급 보장은 물론 기금 고갈도 발생할 수 있다는 전제를 깔고 있습니다.

중앙일보의 주장처럼 공적연금이나 공적보험의 제도에 문제가 발생해 국민들의 불안감이 높아진다면 어디가 웃을까요? 사보험 업계가 아닐까요?

중앙일보가 사보험 업계의 편을 든다고 할 순 없겠지만, 적어도 사보험 업계가 주장하는 내용을 편드는 것 같다면 한 번쯤 이런 기사는 의심해볼 만합니다.
제대로써!보자 4:55
‘친노 좌장’, ‘친문 좌장’, ‘친박’, ‘비박’
이런 계파 붙이는 수식어 이제 지겹다

8월 25일 전당대회를 통해 더불어민주당 새 당 대표로 이해찬 의원이 선출됐습니다. 이해찬 의원의 당선을 다루는 기사를 보면 하나같이 ‘친노 좌장’을 수식어로 사용했습니다.

흔히 사용하는 표현이지만 많은 사람이 ‘좌장’이라는 표현에 대해 본래의 뜻을 잘 모르고 있습니다.

표준국어대사전에 따르면 ‘좌장’은 ‘자리 좌’, ‘어른 장’이 합쳐진 말로 ‘여럿이 모인 자리나 단체에서 그 자리를 주재하는 가장 어른이 되는 사람’을 뜻합니다. 같은 말로는 ‘석장’이 있습니다.

사전적 의미를 그대로 두고 쓰이는 곳은 보통 토론회입니다. 토론회에서 발제자와 토론자의 이야기를 정리하고 주도하는 역할을 ‘좌장’이라고 부릅니다.

발제자와 토론자, 즉 주제를 발표하는 역할은 ‘연자’라고 하고. ‘좌장’은 이렇게 실제로 존재하는 모임에서 주도하는 역할을 뜻합니다.

뉴스에서는 ‘좌장’을 주로 ‘계파의 수장’ 정도로 쓰고 있습니다. 이해찬 대표에 대해서는 ‘친노 좌장’이라는 수식어를 주로 붙입니다. 심지어 ‘친노.친문 좌장’이라고 묶어서 쓰는 곳도 있습니다. 정말 이해찬 대표를 ‘친노 좌장’이라고 표현하는 게 맞을까요?

먼저 ‘친노 계파’가 존재하는지 생각해야 합니다. 대부분의 언론에서는 문재인 대통령 당선 이후 ‘비노’라고 불리던 사람들도 ‘친문’으로 합류하면서 ‘친노’계파는 발전적으로 없어졌다는 평가가 많습니다.

그리고 이미 많은 언론이 보도했던 친문 계파 모임 ‘부엉이 모임’에는 이해찬 대표가 속해있지 않습니다. 이해찬 대표가 ‘좌장’을 맡을 ‘계파’가 없는 것은 아닐까요? 게다가 문희상 국회의장도 한때 ‘친노 좌장’이라는 수식어를 달고 뉴스에 등장했습니다. 도대체 누가 진짜 ‘좌장’이라는 것일까요?

그렇다면 ‘친노 좌장’이라는 표현은 왜 나온 것일까요? 대부분의 언론은 정치인을 기사의 제목으로 사용할 때 수식어를 붙이려고 합니다. 그리고 그 수식어는 주로 계파 성향을 띄는 경우가 많습니다..

‘친노’, ‘친문’, ‘친박’, ‘비박’ 이런 식입니다. 그런데 이제 막 정치에 입문해서 국회의원에 당선된 초선 정치인들에게도 이런 수식어를 씁니다. 정치인을 분류하는 방법이 고작 ‘계파’ 말고는 없나봅니다.



최근 별세한 미국 보수 정치인 존 매케인은 ‘매버릭’이라는 수식어로 불렸습니다. ‘매버릭’은 ‘개성이 강한’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매케인이 ‘매버릭’이라고 불린 이유는 평생 속해있던 공화당의 입장과 무관하게 소신에 따라 행동했기 때문이라고 합니다. 미국인들은 매케인에게 ‘진정한 매버릭’이라고도 표현했습니다.

고 김근태 의원은 ‘민주주의자’라 불렸습니다.. 그리고 고 김대중 대통령은 겨울을 버티고 피어난다는 ‘인동초’가 별명이었습니다.. 우리도 이제 정치인을 수식하는 표현에서 ‘계파’ 외에 다른 표현을 찾아야 하지 않을까요?. ‘계파’와 무관한 별명을 얻을 수 있는 정치인이 나와야 하고, 마찬가지로 ‘계파’와 무관한 표현을 쓸 수 있는 언론도 나와야 합니다.
똑바로보자 8:50
광고인지, 홍보자료인지 모를 다큐와 기사
원전 빨아주는 기사들의 금액은?

언론계에서는 홍보성 기사를 빨아주는 기사라고 합니다. 저속한 표현이지만, 기사 내용을 보면 이렇게 까지도 홍보를 해줄 수 있구나라는 생각이 듭니다.

어쩌다 저널리즘에서는 돈 받고 쓰는 기사, 홍보성 기사 등을 통해 언론이 저널리즘의 원칙을 망각하는 사례를 고발하고자 합니다.



2012년 SBS는 <갈등, 길을 묻다>는 특선다큐멘터리를 방영했습니다. 스웨덴 현지 취재까지 한 방사성 폐기물 처리장 안전을 강조한 다큐멘터리였습니다.

2014년 SBS는 <방폐장 이제는 상생이다>라는 특선다큐멘터리를 방영했습니다. 이 다큐멘터리도 방사선 폐기물 처리장 일명 방폐장의 안전을 강조했습니다.

SBS는 두 다큐멘터리 제작 방영하면서 원자력공단으로부터 각각 1억 6천만 원과 1억 2천만 원의 제작비를 지원받았습니다.

'원자력공단'은 방폐물 관리사업에 대한 국민의 이해를 돕고자 홍보 예산을 활용하여 방송 홍보를 했다고 밝혔습니다.

원자력 공공기관 중의 하나인 '한국에너지정보문화재단'은 2014년 <미래에게 말을 걸다―원자력 세대의 선택은?>이라는 MBC다큐프라임의 제작비로 1억 1천만 원을 지원했습니다.

다큐멘터리를 가리켜 사실을 기록한다는 점에서 기록영화라고도 부릅니다. 잘 만들어진 다큐멘터리는 뉴스보다 더 진실을 말하기도 합니다. 그러나 SBS가 방영한 특선다큐멘터리는 그저 원자력공단의 홍보물에 불과했습니다.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는 대한민국의 원전을 관리하는 공기업입니다. 세명대저널리즘스쿨의 단비뉴스에 따르면 한수원은 2012년부터 2017년 6월까지 총 222억2500만여 원을 언론사 광고비로 지출했습니다.

YTN은 방송제작 협찬비로 4억 7천만 원을 TV조선은 1억 8천만 원을 연합뉴스TV는 1억 3천만 원을 JTBC는 1억, 채널A는 5천만원, KBS는 7500만 원을 등을 받았습니다.

2015년 국민일보는 <원전 우리에게 무엇인가>라는 기획시리즈 기사를 7개월 동안 보도했습니다. 국민일보는 한수원 측에 협찬을 제안해 1억 5천만 원을 받았습니다.

동아일보는 2012년부터 2016년 9월까지 한수원 관련 기획특집기사를 총 11회 실어 1억8945만 원을 받았고, 조선일보도 같은 기간 15회짜리 기획특집기사를 쓰고 1억6440만 원을 챙겼습니다.

원자력 문화재단 등이 사용하는 돈은 전액 전력산업기반기금에서 나옵니다. 전력산업기반기금은 여러분들이 매달 내는 전기요금에서 3.7%를 떼어 만듭니다.

국민이 내는 돈으로 원전을 홍보하는 원전공공기관도 행태도 문제이지만, 돈을 받고 진실을 외면하고 홍보성 기사를 쓰거나 방송을 하는 언론의 보도 행태가 더 큰 문제입니다.

국민의 안전은 뒷전이고 오로지 돈에 따라 국민을 기망하는 언론사의 뉴스와 방송을 믿지 마시길 바랍니다.
아이엠피터TV에는 광고주가 없습니다. 협찬도 받지 않습니다. 오로지 여러분들의 후원으로만 운영됩니다.

어쩌다저널리즘 #파일럿03. '친노 좌장' 이제 그만, 원전 빨아주는 기사들
어쩌다저널리즘 #파일럿02. 조중동이 '최저임금'으로 장난치는 방법
어쩌다저널리즘 #파일럿01. 민변 김선수와 시사평론가 김어준



저작권자 © 아이엠피터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